[헤럴드POP=박서현기자]힐링 드라마가 온다.

1일 오전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 그랜드볼룸홀에서 넷플릭스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배우 박보영, 연우진, 장동윤, 이정은과 이재규 감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넷플릭스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정신건강의학과 근무를 처음 하게 된 간호사 다은이 정신병동 안에서 만나는 세상과 마음 시린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그린 작품.

이날 이재규 감독은 “원작을 봤을 때 원작이 갖고 있는 순수함이나 원작자님이 세상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어하는 마음이 좋았다. 가족들이나 친구들과 이런 얘기를 많이 했었는데 우리 중 절반은 마음의 병을 안고 살아가는 것 같다. 그만큼 세상 살아가는 게 심리적으로 힘들고 각박한 현실인데, 그런 사람들과 주변인들에게 어떻게 봐야하고 어떻게 자유로워질 수 있는지 조금 더 생각할 수 있는 드라마고 심리적인 위로를 받을 수 있는 이야기를 해보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뼈 부러지면 정형외과 가고 감기 걸리면 약을 먹는데 마음의 병에 걸리면 쉽게 약을 먹으려 하지 않지 않나. 빨리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 게 좋은 길이라는 생각을 해주셨으면 했다”며 “의학드라마는 의사가 주가 되는 경우라면 간호사 분들, 환자분들이 주인공인 이야기다. 또 여러 시청자분들, 팬분들이 편안하게 이야기를 보실 수 있도록 재밌게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저도 촬영하면서 하루하루 마음의 치료를 받는 느낌이었다. 저도 힐링을 받을 수 있었다”라고 덧붙였다.

박보영은 명신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사 정다은을 맡아 연기한다. 그는 “문턱이 좀 낮아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었다. 힘든 일이 있을 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한다 생각하는데 그런 부분을 좀 쉽게 안내할 수 있다는 생각이 있었다. 또 다은이의 성장을 너무나 응원하는 마음으로 보게 돼서 꼭 해야겠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환자 한분한분 너무 최선을 다하기도 하고 마음이 너무 따뜻하고 상대방을 많이 배려하는 친구다. 그러면서 시행착오를 겪는 캐릭터다. 다은이랑 비슷한 점이 있어서 스스로도 성장할 수 있었던 것 같다”라고 했다.

연우진은 명신대병원 대장항문외과 펠로우 동고윤을 맡았다. 연우진은 “일단 여기 함께하시는 모든 분들의 믿음이 있었다. 함께해준 배우분들과 제작진 분들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이재규 감독님과 언젠가 꼭 작업을 하고픈 마음이 이전부터 있었다. ‘지금 우리 학교는’도 너무 재밌게 봤었는데 지금 대본을 보니 백신을 맞는 기분이었다. 제 스스로도 힐링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 참여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또 연우진은 ‘동고윤’이라는 이름이 주는 강렬함에 대해서도 “처음에 이름에 대한 것은 몰랐다. 감독님의 연락을 보고 알았다. 이름 속에서 나타나는 강렬함에서 색깔이 보이더라. 어느 작품 열심히 준비하듯이 똑같은 마음으로 준비를 했다”라고 덧붙였다.

어린 시절을 함께 보낸 다은의 가장 가까운 절친 송유찬은 장동윤이 연기한다. 그는 “저도 마찬가지로 감독님과 선배님들의 워낙 팬이고 존경하는 분들이라 함께하게 됐을 때 정말 기뻤다. 영광으로 참여하게 됐고, 유찬이라는 캐릭터를 제안 받았을 때도 소재 자체가 주는 매력이 있다 생각해서 그 매력을 잘 살려서 연기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했다.

장동윤과 연우진은 OCN ‘서치’에서 호흡을 맞춘 바 있다. 장동윤은 “서치’ 할 때 어버지셨다. 말이 안되지만 아버지였어서 그때도 내적친밀감이 돈독한 상태에서 연기를 해서 선배님이 고윤역을 한다 했을 때 기분이 좋았다. 한 번 호흡을 맞춰봤고 우진선배님이 저와 케미가 있다는 것을 안 상황이었으니 기뻤다. 이번 작품에서도 형처럼 잘해주셔서 감사한 마음이 크다.

이정은은 명신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수간호사 송효신을 맡았다. 그는 “언젠가 멘탈케어에 대한 드라마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던 타이밍에 감독님이 전작이 이슈가 됐음에도 불구하고 정신건강에 대한 작품을 한다고 하셔서 기대가 됐고, 박보영과 ‘오 나의 귀신님’ 이후 오랜만에 만나게 돼서 그 즐거움을 겪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제가 이런 문제를 겪어서 이 작품을 선택한건 아니다. 저도 질병까진 아니지만 카메라 울렁증이 심했었다. ‘내가 왜 이런 일을 겪을까’ 하면서 공론화를 시켰다. 왜 그런 마음이 들었고 울렁증이 있었는지 경험하게 되니까 그런 것을 같이 공유할 수 있는 작품이 있었으면 했다. 공론화 시킬수록 더욱더 문턱이 낮춰지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온 것들을 드라마가 주요한 역할을 해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넷플릭스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3일 베일을 벗는다.

popnews@heraldcorp.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