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1) (18)
북한군이 9·19 군사합의에 따라 파괴했던 동부전전 비무장지대(DMZ)내 감시초소(GP) 자리에 목재로 감시소를 설치하고 있다./제공=국방부
사진 (2) (19)
북한군이 9·19 군사합의에 따라 파괴했던 동부전전 비무장지대(DMZ)내 감시초소(GP) 자리에 목재로 감시소를 설치하고 있다./제공=국방부
사진 (3) (14)
북한군이 9·19 군사합의에 따라 GP를 파괴하면서 철수했던 무반동포나 고사총 같은 장비를 재반입 하는 장명과 경계호를 만드는 장면./ 제공=국방부
사진 (4) (13)
우리군의 열상장비에 포착된 북한군이 경계호에서 야간 경계 근무를 서고 있는 모습./제공=국방부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한 북한군이 파괴한 비무장지대(DMZ)내 감사초소(GP)를 복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3일 국방성 성명에서 관련 합의 파기를 공언한 이후 행동으로 옮기기 시작한 것이다. 군 당국은 조만간 GP 복원 등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전망이다.

27일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4일 부터 파괴했던 GP에 감시소를 설치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감시소 외에 경계진지를 만들어 중화기를 들여오는 장면이 포착됐다”며 “북한군은 현재 이곳에서 경계근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9·19 합의에 따라 파괴했던 GP 10곳에 구조물을 만드는 상황이 포착됐다며 최전방 감시장비로 촬영한 사진 4장을 공개했다.

공개한 4장의 사진에는 북한군 4명이 목재로 된 초소 구조물을 짓는 모습, 얼룩무늬로 된 초소 주변에 북한군 4명이 서 있는 모습, 앞서 GP를 철거했던 장소에 경계호를 조성하고 무반동포 등을 배치한 채 주·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모습 등이 식별됐다.

북한의 이 같은 움직임은 9·19 합의에 따라 파괴한 GP 10곳과 보존한 1곳 등 11곳 모두에서 유사하게 포착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감시소를 시작으로 사실상 철거 GP 시설을 모두 원상복구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9·19 군사합의 이전 DMZ 내 북한 GP는 160여 개, 남측은 60여개였지만 각각 10개씩을 파괴한 상태였다.

북한의 이 같은 움직임에 국방부는 이날 “북한의 도발행위를 예의주시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며 “북한의 대응조치를 즉각적으로 이행할 만반의 준비를 갖춰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방부가 언급한 대응조치로는 우리 군도 파괴, 철수한 GP를 복원알 것으로 보인다.

김명수 합참의장은 이날 취임 후 처음으로 국방부 기자실을 방문, 북한의 GP 복원에 대한 우리 군의 대응과 관련해 “대응조치는 시간이 지나면 아시게 될 것”이라며 “태세를 유지하기 위한 우리의 기본적 조치는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장은 아울러 ‘과거 우리 군이 파괴·철수한 GP 복원은 언제쯤 이뤄지냐’는 질문에는 “오늘 (우리 군이 촬영한) 사진까지 공개했는데 조만간 상응하는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며 “(상응 조치를) 안 하는 것이 더 바보 같은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김명수 합참의장으로부터 북한군이 GP 복원 등 9·19 남북군사합의 일부 효력정지 조치 이후 북한 동향 등을 보고받은 후 “북한의 동향을 빈틈없이 감시하면서 우리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라”고 지시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