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소득 6790만원…전년比 6.1%↑

110만1000쌍→103만 2000쌍

주택 소유 40.5%…1.5%p 줄어

2022년 자녀는 낳지 않고, 맞벌이하는 이른바 더블인컴 딩크족 부부가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데일리안DB 2022년 자녀는 낳지 않고, 맞벌이하는 이른바 더블인컴 딩크족 부부가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데일리안DB

자녀를 낳지 않고 둘이 사는 신혼 부부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맞벌이하는 초혼 부부 비중도 57.2%로 전년보다 2.3%포인트(p) 상승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초혼 부부 중 자녀가 있는 비중은 53.6%로 전년보다 0.6%p 떨어졌다. 평균자녀 수는 0.65명으로 1년 전보다 0.01명 감소했다. 맞벌이 부부 유자녀 비중은 49.8%로 외벌이 부부 59.4%보다 9.6%p 낮았다. 혼자 버는 부부가 아이를 더 많이 낳은 셈이다.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49.2%로, 그렇지 않은 부부 60.9%보다 11.7%p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부부의 유자녀 비중(49.5%)이 주택을 소유한 부부(59.6%) 보다 10.1%p 낮았다.

2022년 초혼인 신혼부부의 유자녀 비중. ⓒ통계청 2022년 초혼인 신혼부부의 유자녀 비중. ⓒ통계청

신혼 부부 연간 평균소득은 6790만원으로 전년보다 6.1% 증가했다. 소득별로 보면 5~7000만원(22.0%), 7000~1억원(21.3%), 3~5000만원(20.2%) 순이었다.

평균 소득은 맞벌이 부부가 8433만원으로, 외벌이 부부 4994만원보다 약 1.7배 높았다. 또 주택을 소유한 부부의 소득 7591만원이 무주택 부부 6244만원보다 약 1.2배 많았다. 반면 신혼 부부의 주택 소유 비중과 대출 여부는 줄어들었다.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 비중은 40.5%로 전년보다 1.5%p 감소했다. 주된 거처 유형인 아파트(72.4%)는 지난해보다 0.3%p 상승했다. 또 대출이 있는 신혼부부 비중은 89.0%로 전년보다 0.1%p 하락했다.

신혼부부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한 부부(2022년 11월 1일 기준) 110만9000쌍 중 국내에 거주하며 혼인상태를 유지하는 신혼부부는 103만2000쌍으로 조사됐다. 전년(110만1000쌍)에 비해 6.3%(6만9000쌍) 감소한 수치다.

신혼부부 중 초혼부부 비중은 79.0%, 재혼부부는 20.7%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경기 29.9%(30만9000쌍), 서울 17.8%(18만4000쌍), 인천 6.1%(6만3000쌍) 순이었다. 다만 1년 전보다 경남(-8.9%), 울산(-8.5%), 서울(-8.2%) 등 17개 시도 모두 신혼부부 수는 감소했다.

2018~2022년 신혼부부 수 추이. ⓒ통계청 2018~2022년 신혼부부 수 추이. ⓒ통계청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