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중견 건설사인 한국건설이 은행에 중도금 이자를 내지 못하는 등 유동성 위기설이 불거지면서 아파트 분양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광주 남구 봉선동에 짓고 있는 한 아파트 건설 현장. 연합뉴스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부동산경기 침체와 금리인상, 미분양 증가 등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있는 지역 중소건설사들이 속속 무너지고 있다.

민족의 대명절인 설이 보름가량 남은 가운데 하청업체 줄폐업과 연쇄부도, 임금체불 등이 사회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가고 있다.

2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광주에 본사를 둔 건축공사와 토목공사 전문의 A건설사가 부도처리 되면서 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A사는 2022년 실적 기준 매출 1140억원, 영업이익 24억원을 기록할 정도로 견실했으나 시공한 주상복합아파트의 미분양 등으로 자금난을 겪으면서 지난주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광주에 본사를 두고 전남지역에 주로 아파트를 지어왔던 B건설사 역시 부도처리됐다.

앞서 지난해 12월 법정관리를 신청한 해광건설에 대해서는 12월21일 기준 포괄적 금지명령이 내려졌다.

이어 지난해 12월 29일에는 거송건설에 대한 포괄적 금지명령 공고가 있었다. 두 건설사 모두 광주와 전남에서 아파트 건설을 전문으로 해 온 중소 건설사다.

포괄적 금지명령은 정식으로 회생 절차를 시작하기 전 당사자의 자산을 모두 동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법원의 허가 없이 가압류나 채권회수가 금지되고 회사도 자체적으로 자산을 처분할 수 없다.

지역의 중견건설사인 한국건설 역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해 있다.

광주·전남 중견 건설사인 한국건설이 은행에 중도금 이자를 내지 못하는 등 유동성 위기설이 불거지면서 아파트 분양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광주 남구 봉선동에 짓고 있는 한 아파트 건설 현장. 연합뉴스

한국건설은 현재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 4곳의 사업장 중도금의 1월분 이자 5억여원을 내지 못해 944세대에 이르는 수분양자들이 이자를 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한국건설이 공사를 진행 중인 사업장은 광주에 22곳, 전남에는 6곳에 이른다. 특히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분양보증에 가입돼 있지 않은 30세대 미만의 사업장도 8곳에 이르면서 위기감을 키우고 있다.

이들 소규모 세대 사업장은 보증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아 수분양자들은 억대의 계약금을 날리지 않을까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해당 지역의 종합건설업체들이 회원사로 가입해 있는 대한건설협회 광주시회 회원사는 이날 기준 379개사, 전남도회 소속 회원사는 1113곳이다.

광주지역 금융권 한 관계자는 “지역부동산 경기가 좋았을때 건설사들이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한 측면이 이번 부실로 이어지게 됐다. 새마을금고 등 일부 은행과 금융도 수익률이 좋은 프로젝트파이낸싱에 너나할것 없이 뛰어들면서 위기감이 커지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