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 중앙은행 총재가 30일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해 정책 대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 중앙은행 총재가 30일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해 정책 대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을 함께 고려해 중립금리를 추정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신축별관에서 열린 ‘2024년 BOK 국제컨퍼런스’에서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 중앙은행(SNB) 총재와 정책 대담을 하며 이같이 말했다.

중립금리란 각국의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참고하는 준거 금리로,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잠재성장률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말한다.

지금까지 한은은 중립금리를 2~3%로 추정해 왔다. 이는 물가안정만 고려한 중립금리다.

이 총재는 “한은의 정책 목표는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이라며 “금융안정까지 고려한 중립금리를 채택하려고 시도하고 있으며 이는 물가안정만을 고려한 중립금리보다 더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담에서는 통화정책 기조 판단을 위한 중립금리 활용법에 대해서도 대화가 오갔다. 이 총재는 한은의 중립금리 추정과 관련해 “기본적으로 4~5개 모델을 갖고 있다”며 “현재 금리는 중립금리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실질금리가 중립금리 범위를 웃돌면 긴축적, 하회하면 완화적이라고 판단한다는 게 이 총재의 설명이다. 이는 최근 한은의 통화정책 기조가 긴축적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 언급이다.

앞서 요르단 총재는 기조연설에서 “중립금리가 재상승하고 있는지 판단하기에는 이른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 이유로 낮은 잠재성장률, 기대수명 증가 등 실질금리를 낮추는 요인과 비경제활동인구 증가로 인한 저축률 하락, 대규모 재정적자, 신기술에 따른 생산성 향상, 녹색 전환에 따른 대규모 투자 등 실질금리를 높이는 요인이 혼재돼 있다는 점을 짚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