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지와 떨어진 인천 섬에 첫 수돗물 공급… 북도면서 통수식> 지난 18일 연합뉴스 기사다. 육지와 연결되지 않은 인천 섬에 처음으로 수돗물이 공급됐다는 인천 지역의 소식이다. 포털 다음뉴스에서 ‘인천 북도면 지방상수도’를 검색했더니 연합뉴스 기사 1건만 나왔다. 

▲뉴스 검색 기본값이 CP사인 다음뉴스에서  ‘인천 북도면 지방상수도’를 검색하자 연합뉴스 기사만 나왔다.
▲뉴스 검색 기본값이 CP사인 다음뉴스에서 ‘인천 북도면 지방상수도’를 검색하자 연합뉴스 기사만 나왔다.

그러나 뉴스검색 설정을 ‘전체’로 변경하니 경인일보, 위키트리, 경인매일, 대한경제, 경인자치신문, 경인투데이뉴스, 인천in 등의 언론사에서 30건 넘는 기사가 쏟아졌다.

20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박찬대·허종식·김교흥·유동수 의원은 <포털뉴스로 황폐화된 지역언론 생태계, 이대로는 안 된다> 주제로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난달 22일 포털 다음이 뉴스 검색 기본값을 검색제휴사를 배제하고 콘텐츠제휴(Contents Partner, CP)사만 나올 수 있게 변경한 것이 여론의 다양성을 해치고 지역 언론의 소식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뉴스 검색 기본값이 CP사인 다음뉴스에서  뉴스검색 설정을 ‘전체’로 바꾸고 ‘인천 북도면 지방상수도’를 검색하자 30개 넘는 기사가 보였다.
▲뉴스 검색 기본값이 CP사인 다음뉴스에서 뉴스검색 설정을 ‘전체’로 바꾸고 ‘인천 북도면 지방상수도’를 검색하자 30개 넘는 기사가 보였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김명래 경인일보 정치부장은 “인천 상수도가 들어오고 북도면에 115년 만에 수돗물이 공급되기 시작했다. 제가 알기로 현장취재를 경인일보가 했다. 그러나 기사는 보이지 않는다”며 “CP사가 아니더라도 수용자 니즈를 파악하고 노력하고 힘써왔다. 그러나 기사 유통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다음뉴스도 타격이 크지만, 네이버가 그 뒤를 잇는다면 어떻게 될까. 패닉에 가까운 상황이 될 것 같다”고 우려했다.

이런 상황은 2024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더 암울하다고 했다. 김명래 정치부장은 “총선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되면서 선거전이 본격화됐지만, 유권자에게 도달하는 선거 보도는 친명, 반명, 윤핵관 등과 같은 계파 프레임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 흔한 정책 이슈도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총선 후보군 상당수는 지역이 아닌 여의도만 바라보고 있는 형국인데 수도권은 그 정도가 심하다. 유권자가 동네 선거 이슈를 접할 수 있는 매체는 지역 언론이 유일한데, 그 통로가 막혀버렸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경기도와 인천 인구를 합치면 1600만 명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김명래 부장은 “지역신문 육성 및 지원은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 전임 문재인 정부의 지방분권 국정과제와도 연결된다”고 설명한 뒤 “그 첫 출발은 포털에서 배제된 지역 언론 구제부터 시작해야 한다. 포털 CP 배제는 조선일보와 같은 대형 매체, 연합뉴스 같은 국가기간통신사도 버텨내지 못하는 어마어마한 패널티다. 그걸 재정, 인력이 열악한 지역 언론에 감당하라고 말하는 건 현실을 도외시한 주문”이라고 비판했다.

▲20일 오전 더불의민주당 박찬대·허종식·김교흥·유동수 의원은 ‘포털뉴스로 황폐화된 지역언론 생태계, 이대로는 안 된다’ 주제로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토론회를 열었다. ⓒ허종식 의원실
▲20일 오전 더불의민주당 박찬대·허종식·김교흥·유동수 의원은 ‘포털뉴스로 황폐화된 지역언론 생태계, 이대로는 안 된다’ 주제로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토론회를 열었다. ⓒ허종식 의원실

2021년 진행됐던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의 지역언론 ‘특별 입점’ 심사든 일반 CP 제휴 심사든 기준이 모호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수강 OBS 정책기획팀 차장은 “제평위 특별 입점 심사는 9개 권역으로 나눠서 진행됐다. 인천과 경기가 하나로 묶였는데, 다른 광역 단체와 달리 경기도만 해도 1363만 명, 인천은 299만 명에 달한다. 그런데 강원 한곳, 세종·충북 한곳, 제주도 한곳 이런 식으로 뽑는 건 일률적이고 자의적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신문과 방송, 인터넷매체 속성이 아주 다르다. 같은 스포츠 선수지만 농구와 축구, 핸드볼 종목이 다 다른데 이 중 득점이 많은 곳을 고른다는 게 맞지 않다”고 했다.

이수강 차장은 이어 “네이버나 다음이 입점에 대해 자체적인 기준을 가질 수 있지만, 일반 시청자나 뉴스 수용자로서 생각해볼 때 지상파 민방이라고 하면 방통위로부터 정말 다양한 부분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통해 재허가를 받는다. 공적책임, 공익성, 지역성, 문화, 재난방송 등 전방위적 평가를 받아 방송하게 되는 건데, 이런 정부 평가의 잣대보다 제평위 잣대가 더 높은 것인지 의문이었다”고 말했다.

다음뉴스의 150여개 CP사 중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중앙일보, 머니투데이, 한국경제 등과 같은 대형 언론사가 가진 계열사까지 포함하면 특정 언론의 뉴스 노출 과점 현상이 더 심각해진다고 우려했다.

김동원 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실장은 “동아일보 9개, 조선일보 6개, 중앙홀딩스 6개, 머니투데이 8개, 매일경제 5개, 한국경제 4개 계열사를 갖고 있다. 150여개 CP사 중 조중동, 머니투데이, 매경, 한경 등이 40여개의 CP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검색 노출 양의 과점 상황이 벌어지게 되는 것”이라며 “현재 다음뉴스의 검색 정책으로 이익을 얻는 사람들이 누구인가. 언론 대기업, 특히 머니투데이나 동아일보처럼 공격적으로 매체를 갖고 있는 곳이 훨씬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지역사회에서의 광고 영업 차별도 더 심화할 거라고 봤다. 현재 다음뉴스와 CP 계약을 맺고 있는 지역 언론은 총 12곳이다. 김동원 정책위원장은 “12개 지역 언론사의 독점적 지위와 더불어 광고 시장에 대한 점유까지 독점력을 부여하는 위험한 조치”라고 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찬대 민주당 의원은 “정부 여당의 지속적인 압박에 의해 정치적 이유로 카카오가 무릎 꿇은 게 아닌가 의심한다. 제평위 법제화도 유익하다고 볼 수 없지만 아무런 진행이 없다. 지난 5월 제평위가 중단되고 6개월 뒤인 지난달 다음뉴스는 검색제휴를 검색 기본값에서 뺐다. 온전한 피해는 시민들에게 돌아가는 게 아닌가 걱정된다”며 “정치 외부 압력에 의해 이런 일이 일어나는 거라면 정치권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